유럽렌터카여행 #008 - 골든 서클의 마지막, 웅장한 폭포 굴포스(Gullfoss)

etc-image-0



골든서클의 마지막 종착지인 굴포스는 간헐천 게이시르에서 그리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아 금방 도착할 수 있었다. 날씨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안좋아지고 있기는 했지만, 별다르게 비가 올 것 같은 날씨는 아닌지라 다행히도 큰 걱정없이 돌아다닐 수 있었다. 하루에도 수십번 바뀌기도 하는게 아이슬란드 날씨니까.


etc-image-1



굴포스는 한국어로 황금 폭포를 의미하는데, 1900년대에 한번 수력발전소로 바뀔뻔한 위험에 처한적이 있었다. 알려진 스토리로는 소유주의 딸이 반대운동을 한 덕분에 폭포가 보존될 수 있었다고 하는데, 다른 한 편으로는 비용문제 때문에 진행이 되다 몇번이고 취소되어 결과적으로 보존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어떤 이유건 간에 현재 이렇게 아름다운 폭포를 볼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감사할 따름이다.

etc-image-2


굴포스로 가는 길. 이 곳에 오기 전에 꽤 많은 골든서클 여행기를 찾아봤었는데 대부분 겨울에 온 여행기가 많았다. 여름에 아이슬란드를 온 사람들도 많았을텐데, 이상하게 겨울 사진이 많아 여름의 굴포스도 나름 기대되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여름이라고 해도 전혀 따뜻한 날씨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지만. 평균기온은 15도 전후 정도. 굴포스는 조금 더 추웠던 걸로 기억한다.


etc-image-3


굴포스에는 총 2개의 주차장이 있는데, 위쪽의 넓은 주차장과, 아래쪽의 자그마한 주차장이다. 대부분 네비게이션을 찍고 굴포스에 도착하면 위쪽 주차장으로 도착하게 되는데, 굴포스를 가기에는 아래쪽이 편하기는 하지만, 트레일을 위아래 다 갈거라면 위쪽의 주차장도 그리 나쁘지 않다.


etc-image-4


굴포스를 보기위해 가는 길. 멀리서도 그 위용이 드러난다.


etc-image-5


내려가는 길에 폭포의 하부가 보이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멀리서부터 들려오는 웅장한 소리가 굴포스가 거대한 규모의 폭포라는 것을 증명하는 듯 했다. 하얗게 올라오는 물보라는 자꾸 사진의 초점을 엉뚱한 곳에 맞추게 만들기는 했지만, 그냥 보기만 하는 것으로도 충분히 만족스러웠다.


etc-image-6


 etc-image-7


굴포스의 위용과 가까이서 폭포를 감상하는 사람들.


etc-image-8


 etc-image-9


폭포의 왼쪽으로는 폭포에 조금 더 가까이 갈 수 있는 트레일이 있었는데, 물보라가 심한 날에는 물방울을 다 맞으면서 걸어가야 하는 길이기에 방수 자켓은 필수였다. 바람 방향에 따라서 트레일 위에 비가 오듯이 물방울이 떨어지는가 하면, 바람 방향이 바뀌었을 때에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걸어갈 수 있었다. 우리는 갈 때는 엄청난 물보라를 뚫고 걸어갔지만, 지나가고 나니 굉장히 약해졌었다. 아, 인생은 타이밍.


etc-image-10


 etc-image-11


트레일을 지나 조금 더 굴포스에 다가가니 그 위용이 확실히 느껴진다. 폭포수가 하얗게 부숴져 내리며 생기는 하얀 포말과 귓전을 때리는 굉음이 다시 한번 새삼스럽게 느껴질 정도. 이렇게 폭포에서 흘러내린 물은 계곡 사이로 흘러져 시야에서 사라졌다.


etc-image-12


계곡을 바라보는 모습은 대략 이런 느낌. 안전망이라고는 저렇게 묶어놓은 줄이 전부였다.


etc-image-13


 etc-image-14


가까이서 본 굴포스 상부의 모습. 가까이서 보니 멀리서 보는 것보다 거대하게 느껴지지는 않았다. 사진에서는 더 그런 느낌이 없는 것 같지만, 그래도 잘못 휩쓸리면 바로 죽을수도 있는 것 하나만은 분명했다.


etc-image-15


셔터스피드를 느리게 해서 찍어 본 굴포스의 모습. 그리고 이날 내가 사 놓은 ND 필터를 가져오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리고, 삼각대의 플레이트도 가지고 오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사진 찍으려고 준비한 가장 중요한 2가지를 빠뜨리다니!!! ㅠㅠ. ND필터야 그냥 살 수 있다지만, 내 삼각대에 맞는 플레이트는 구하기 쉽지도 않은데...-_;; 결국 유럽 여행하면서 곳곳을 뒤졌지만 못샀다.


etc-image-16


그렇게 굴포스의 마지막 모습을 한 장 남기고 이번에는 굴포스를 위에서 조망할 수 있는 트레일로 이동했다. 다시 왔던 길로 돌아가서 계단을 조금 더 올라가는 정도의 수고. 그리 어려운 길은 아니었다.


etc-image-17


상부쪽의 굴포스 트레일. 보드워크가 잘 되어 있어서 누구나 쉽게 걸을 수 있게 되어 있었다. 이 트레일은 굴포스를 가까이서 볼 수는 없지만, 대신 전체적으로 조망하기 좋아서 굴포스에 왔다면 두 트레일을 다 걸어보는 것이 좋다. 어쨌든 두개를 다 둘러보는데 1~2시간이면 충분하니까.


etc-image-18


위에서 내려다 본 굴포스의 모습. 첫번째 전망대에서 본 모습인데 왼쪽으로 폭포로 접근하는 트레일이 보인다.


etc-image-19


두번째 전망대에서 본 굴포스. 물보라 때문에 폭포의 물줄기가 잘 보이지는 않았다.


etc-image-20


물보라를 맞으며 지나가는 사람들.


etc-image-21


 etc-image-22


그렇게 굴포스를 보면서 조금 기다리다보니 바람 방향이 바뀌었는지 하얗기만 하던 물보라가 조금은 가라앉았다. 그 사이를 틈타 굴포스의 사진을 몇 장 더 찍어보았다. 비교될만한 사람이 있었으면 더 웅장했을 텐데 살짝 아쉬운 느낌.


etc-image-23


아래쪽 주차장과 트레일 시작 지점. 잘 보면 위로 올라가는 계단도 보인다.


etc-image-24


마지막 전망대에서 찍은 굴포스의 풍경. 멀리서 사진을 찍으니 아까 가까이에서 찍었던 굴포스의 모습보다는 그 규모가 확연하게 느껴진다. 작은 사람의 크기와 그 앞으로 흘러내리는 물줄기의 대비가 상당히 뚜렷하다. 그러고보면 아이슬란드에서 꽤 많은 폭포를 만났지만, 굴포스는 그 중에서도 가장 인상에 남는 폭포 중 하나였다.


etc-image-25


 etc-image-26


그렇게 굴포스의 트레일 2곳을 마치고 돌아가는 길. 오늘의 목표는 스코가포스(Skogarfoss)까지 가서 그 앞 캠핑장에서 1박을 하는 것이다. 굴포스를 떠나면서 시계를 보니 벌써 6시가 다 되어가고 있었지만, 아이슬란드의 7월은 12시가 되어야 겨우 석양이 질 정도니 큰 걱정은 없었다. 야간운전도 아니고 밝은 날의 운전은 좀 늦어도 그렇게 피곤하지는 않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