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시티게이트 아울렛에 있는 푸드 리퍼블릭입니다. 시티게이트에 갔다가 간단히 식사를 하기 위해서 들린 곳이지요. 일반적인 푸드코트를 생각하면 되는데, 메뉴별로 나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각 나라별로 음식들이 나뉘어 있습니다. 자신이 선호하는 국가의 음식을 시키면 되지요. 푸드 리퍼블릭의 전경입니다. 딱 보기에는 일반 푸드코트랑 별반 차이가 없네요^^.. 제가 선택했던 인도 음식입니다. 한국에서 인도음식 먹는것보다는 훨씬 싸더라구요. 이상하게 한국이 인도음식이 비싸서ㅠㅠ.. 그 외에도, 말레이시아, 태국, 일본, 한국 등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파는 곳이 있었습니다. 이곳은 한국음식을 파는 코리아하우스. ^^; 이 근처에서 음식을 사는 사람들을 봤는데, 한국사람들은 하나도 없고, 대부분 외국사람들이더라구요 ..
홍콩에서 먹었던 첫번째 식사는 제이드가든에서 먹은 딤섬이었습니다. 워낙 유명한 장소인지라 별다르게 추가로 설명할 것은 없고, 그냥 굉장히 스탠다드한(그래도 맛있는) 딤섬이 나오는 딤섬집이라고 생각하면 무난할 것 같습니다. 위치는 침사추이 스타페리 터미널 맞은편 건물 4층에 있는데, 굉장히 찾기 쉽습니다. 스타벅스 옆 입구로 들어가서 4층으로 올라가면 됩니다. 3시에 가까운 시간이었는데도 사람들이 바글바글합니다. 딤섬의 경우에는 얌차라고 해서, 점심시간 이외에는 먹을 수 없기 때문에(예외인 곳들도 있지만), 점심에 딤섬을 먹기위해 이런 레스토랑을 많이 찾습니다. 물론, 저 역시도 딤섬을 먹기 위해 이곳으로 왔구요. 사람이 오기전부터 이렇게 테이블 세팅이 되어있었습니다. 두명이었던 관계로 이미 놓여있던 것들..
어느곳을 가던지 야시장 구경은 가장 큰 재미 중 하나이다. 홍콩역시 야시장이 잘 발달해 있는데, 프린세스 에드워드 역부터 야우마테이까지 이어지는 야시장은 저녁시간을 꼬박 투자해서 구경해도 질리지 않을만한 곳이다. 금붕어, 새, 옥, 꽃, 다양한 잡화까지 홍콩의 야시장에는 없는거 빼고 다 있다는 말이 사실일 정도로 다양한 물건들이 있다. 물론 그만큼 사람들도 엄청나게 붐비는 곳이 홍콩의 야시장이기도 하다. 처음 프린세스 에드워드 역에서 내려서 갔던 곳은 금붕어 야시장. 색색의 다양한 금붕어들을 팔고 있는데, 특이한 것은 이렇게 봉지에 넣어서 팔고 있다는 점이다. 홍콩은 인구밀도에 비해 땅이 좁다보니 집이 좁은 편이다. 그래서 애완동물보다는 자리를 많이 차지하지 않는 이런 금붕어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어서,..
서울 시내를 돌아다니다 보면 최근 쉽게 느낄 수 있는 것은 일본, 중국 관광객이 엄청 많아졌다는 점이다. 엔화 환율이 700~900원 사이를, 위안화 환율이 120~130원 정도였던 작년 이맘때와는 사뭇 다른 풍경이다. 명동의 유명 음식점에는 일본 사람들이 반 이상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곳곳에서 중국어가 더 많이 들린다. 명동 거리에서 대다수를 차지했던 한국사람의 비율이 크게 줄어든 것은 경기침체의 영향이 크다. 비단 명동에만 해당하는 이야기는 아니다. 인사동거리, 궁궐들, 동대문, 남산타워 등에서 볼 수 있는 일본, 중국사람의 숫자는 크게 늘었다. 그 외에도 하늘공원이나 삼청동, 강남역 등의 장소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요 몇 개월간 이렇게 일본, 중국 관광객이 늘어난 이유는 원화의 약세에..
1921년에 지어졌고 홍콩에서 가장 신도가 많은 사원이 바로 이 웡타이신 사원이다. 웡타이신 MTR역과도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이기도 하고, 입장료도 별도로 있지 않기 때문에 가벼운 마음으로 찾을 수 있는 곳이다. 사원으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이렇게 선향을 파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이런 선향을 사가지고 웡타이신 사원으로 들어가서 참례를 하게 된다. 선향의 가격은 $5~$15 정도. 퀄리티가 썩 좋다고 할만한 향들은 아니지만, 잠깐 불이 붙었다가 꺼지는 운명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 질에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았다. 웡타이신 사원의 입구. 이곳을 통해서 한바퀴를 돌며 참례를 하면 된다. 웡타이신 사원의 다양한 위치들을 알려주는 이정표. 참례를 하기 전에 이렇게 마련된 곳에서 선..
홍콩의 지하철인 MTR에서 가장 맘에 들었던 점은, 도착시간이 바로바로 나온다는 것과, 환승시에 멀리 가지 않아도 갈아탈 수 있다는 점이었다. 이렇게 홍콩의 각 역들을 돌아다니면서 발견한 한가지는, 홍콩의 역 벽들이 모두 컬러풀하다는 것이었다. 웡타이신 사원이 있는 웡타이신역. 노란색^^.. 프린세스 에드워드역. 조단역. 또다른 타일색의 조단역. 센트럴 역. 셩완역. Admiralty역. 침사추이역. 원래는 검은색 타일로 되어있는데, 광고로 도배가 되어있어서, 타일이 모두 보이지는 않는다 ^^. Lai King 역. 놓쳐서 찍지 못한 홍콩의 다른 역들까지 생각하면, 정말 다양한 색들이 곳곳에 포진되어 있다. 미처 놓지고 촬영하지 못한 색들은 더 다양했으니, 이렇게 홍콩의 지하철을 타고 다니면서 다음 역의..